대선 앞두고 뒤숭숭한 관가이재명, 막강 권한
페이지 정보
ajfoooo 답변을 준비중 입니다. 20 Views 25-05-27 05:31 제품문의본문
대선 앞두고 뒤숭숭한 관가이재명, 막강 권한 기재부 개편 강조 부산 유세 당시 해수부 이전도 밝혀 김문수, 환경부 확대개편 추진 공약 이준석은 산업·중기부 일원화 의지 기재부 공무원 “분할 땐 ‘자리’ 늘어” 우려 목소리 크지만 승진 기대감도 행안부 “대선 결과 나와야 개편 착수”제21대 대통령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세종관가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여론조사 1위를 달리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당선될 경우 부처가 쪼개지거나 이전할 가능성이 높은 부처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 부처가 확대 개편되는 공약이 담긴 부처는 기대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26일 정치권과 관가에 따르면 이 후보가 당선될 경우 우선 ‘기획재정부 쪼개기’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민주당은 예산과 세제, 기획 등 막강한 권한이 집중된 기재부의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 후보도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 기획예산처 체제로 되돌리고 세제와 국고, 국제금융 등 나머지 기능은 ‘재정부’ 또는 ‘재정경제부’로 개편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떻게 바뀔까 제21대 대통령선거 본투표를 약 일주일 앞두고 각 후보가 정부 부처 개편 공약을 내놓으면서 관가에 뒤숭숭한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사진은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층별 안내도. 뉴스1 기재부 쪼개기는 정권 초기가 아니면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실제로 지난 정권에서도 기재부 권한을 축소하거나 분할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지만, 정권 중반 이후엔 동력이 약해졌다. 21대 대선을 계기로 부처가 쪼개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기재부 공무원들은 우려와 함께 ‘자리’가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과장급 공무원은 “부처가 쪼개지면 당장 필요한 장·차관과 1급 등 늘어나는 자리가 생기기 마련”이라며 “부처 위상이 낮아지고 정책 실행에 혼선이 올 수 있지만, 당장 승진 티오(자리)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가 분할될 경우 소요되는 비용도 문제다. 최근 국회예산정책처가 오기형 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해 작대선 앞두고 뒤숭숭한 관가이재명, 막강 권한 기재부 개편 강조 부산 유세 당시 해수부 이전도 밝혀 김문수, 환경부 확대개편 추진 공약 이준석은 산업·중기부 일원화 의지 기재부 공무원 “분할 땐 ‘자리’ 늘어” 우려 목소리 크지만 승진 기대감도 행안부 “대선 결과 나와야 개편 착수”제21대 대통령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세종관가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여론조사 1위를 달리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당선될 경우 부처가 쪼개지거나 이전할 가능성이 높은 부처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반면 부처가 확대 개편되는 공약이 담긴 부처는 기대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26일 정치권과 관가에 따르면 이 후보가 당선될 경우 우선 ‘기획재정부 쪼개기’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민주당은 예산과 세제, 기획 등 막강한 권한이 집중된 기재부의 구조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 후보도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 기획예산처 체제로 되돌리고 세제와 국고, 국제금융 등 나머지 기능은 ‘재정부’ 또는 ‘재정경제부’로 개편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떻게 바뀔까 제21대 대통령선거 본투표를 약 일주일 앞두고 각 후보가 정부 부처 개편 공약을 내놓으면서 관가에 뒤숭숭한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사진은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내 층별 안내도. 뉴스1 기재부 쪼개기는 정권 초기가 아니면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실제로 지난 정권에서도 기재부 권한을 축소하거나 분할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지만, 정권 중반 이후엔 동력이 약해졌다. 21대 대선을 계기로 부처가 쪼개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기재부 공무원들은 우려와 함께 ‘자리’가 늘어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과장급 공무원은 “부처가 쪼개지면 당장 필요한 장·차관과 1급 등 늘어나는 자리가 생기기 마련”이라며 “부처 위상이 낮아지고 정책 실행에 혼선이 올 수 있지만, 당장 승진 티오(자리)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가 분할될 경우 소요되는 비용도 문제다. 최근 국회예산정책처가 오기형 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해 작성한 비용추계서에 따르면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총 476억5300만원의 추가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 당선 시 조직 개편이 예상되는 또 다른 부처는 해양수산부다. 이 후보는 지난 14일 부산 서면 유세에서 “해수부를 부산으로 반드시 이전하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