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뉴스 소장섭 기자】 기
페이지 정보
ajfoooo 답변을 준비중 입니다. 19 Views 25-05-26 08:20 제품문의본문
【베이비뉴스 소장섭 기자】 기술보증기금 본점.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이사장 김종호, 이하 '기보')은 녹색 여신 활성화를 위해 지난달 도입된 택소노미평가보증의 첫 사례로, IoT 기반 원격 검침 단말기 제조기업인 ㈜에스트론(대표이사 문기석)을 발굴해 지원했다고 23일 밝혔다.택소노미평가보증은 기보가 자체 개발한 택소노미 평가시스템(이하 'KTAS')을 활용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적합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는 녹색분야 특화보증이다. 기보는 보증기관 최초로 기후대응기금에서 400억원을 출연받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올해 2800억원 규모의 보증을 공급해 녹색금융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택소노미평가보증 1호 기업인 ㈜에스트론은 스마트그리드 기술 기반의 중소기업으로, 2009년 설립 이후 IoT 원격 전력 검침장치 및 전기안전 관제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사업화하고 있다. 이 회사의 제품은 전력 사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위험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화재 등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전력 차단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기술적 차별성을 인정받고 있다.기보는 ㈜에스트론에 대해 K-택소노미 적합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혁신품목 소재·부품·장비 제조의 4가지 적합성 평가기준이 모두 충족돼 택소노미평가보증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 기업은 이번 보증을 통해 ▲보증비율 상향(85%→최대 95%) ▲보증료 감면(최대 0.4%p↓) ▲협약은행의 보증료 지원(0.7%p, 2년간) 등의 혜택을 받는다.문기석 ㈜에스트론 대표이사는 "기술 기반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분야별 정책지원이 필요한데, 이번 기보의 K-택소노미 적합성 평가를 통한 녹색금융 지원으로 녹색기술 고도화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기후테크기업들이 스케일업 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김종호 기보 이사장은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녹색기술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보는 녹색기술 평가 역량과 녹색금융 인프라를 결합한 택소노미평가보증을 통해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을 백악관에 초대한 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불을 어둡게 하고 준비한 영상을 보여달라고 주문합니다. 남아공 '백인 농부 학살' 의혹에 대한 문제 제기가 시작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이곳들은 매장지입니다, 수천 곳에 달합니다.] [시릴 라마포사 /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 그게 어디인지 들으셨습니까, 대통령님? 어디인지 나도 알고 싶습니다. 이런 걸 본 적이 없습니다.] 뉴욕타임스가 팩트 체크 해봤더니 그곳은 묘지가 아니고 백인 농부 부부 피살 사건의 추모행진 장면이었다고 합니다. 도로 옆 십자가들도 지금은 현장에 없다며 사실이 아니라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트럼프는 블로그 글을 출력한 것으로 보이는 A4 종이도 잔뜩 준비했는데, 여기 나온 사진 한 장을 보여주면서 남아공에서 살해된 백인 농부들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모두 매장되고 있는 백인 농부들입니다.] 그러자 로이터 통신이 영상을 공개하면서 반박했습니다. 해당 사진이 지난 2월에 소속 기자가 찍은 영상의 스크린 샷이고, 촬영 장소는 남아공이 아니라 콩고민주공화국이라는 겁니다. 대통령이 외국 정상 앞에서 공개한 영상과 사진이 가짜뉴스라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백악관 기자실에서도 설전이 벌어졌습니다. [야미체 알신도르 / NBC 백악관 출입기자 : 그 영상이 매장지를 보여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통령의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근거 없는 것임이 분명합니다.] [캐롤라인 레빗 / 백악관 대변인 : 그 십자가들은 그들이 죽었고 정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 점에 대해 이의가 있나요?] 백악관에서 '봉변'을 당하고도 몸을 낮춘 라마포사 대통령은 별도의 기자회견에서 남아공에 집단학살은 없다며 미국과의 협력을 원한다고 밝혔습니다. YTN 신호입니다. 영상편집 | 임현철 디자인 | 정은옥 자막뉴스 | 송은혜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