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
페이지 정보
oreo 답변을 준비중 입니다. 9 Views 25-06-24 09:40 제품문의본문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침 식사를 거르는 일이 잦거나, 수면 부족에 시달리거나,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등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을 보유하면 대사증후군 위험이 최대 27%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이 한꺼번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심뇌혈관질환과 당뇨병 발생 위험을 크게 높여 예방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이수진 교수 연구팀은 24시간 일주기 리듬 교란 요인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2016~2020년 성인 1만6253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했다.연구팀은 불규칙한 아침 식사, 수면 시간 6시간 미만 또는 8시간 초과, 신체활동 부족, 교대 근무 등 네 가지를 일주기 리듬 교란 요인으로 규정한 뒤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을 살폈다.그 결과, 대상자 1만6253명 중 5237명(29.3%)에서 대사증후군이 진단됐다. 대사증후군 환자 중 2627명(15.6%)은 일주기 리듬 교란 요인이 전혀 없었고, 6406명(38.13%)은 1개, 7220명(46.3%)은 2개 이상 보유했다.아침 결식, 수면 부족, 신체활동 부족, 교대 근무 등 일주기 리듬 교란 요인을 한 개 보유한 경우 전혀 없는 환자와 비교해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이 21% 높았다. 두 개 이상이면 그 위험이 27% 증가했다.개별 요인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은 6시간 미만 수면 시 25%, 불규칙한 아침 식사 14%, 신체활동 부족 13% 각각 증가했다.연구 저자인 성균관대의대 유준현 교수는 "일상에서 일주기 리듬을 교란하는 요인이 많을수록, 즉 규칙적인 생활을 하지 않을 경우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 충분한 신체 활동과 같은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게 대사질환 위험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의 국제학술지 'KJFM(Th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 전면 통제된 나토 정상회의장 일대 (헤이그=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개막을 하루 앞둔 23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의 정상회의장 주변이 전면 통제된 모습. 2025.6.23 shine@yna.co.kr (헤이그=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네덜란드 보안 역량의 한계에 도전하다.'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개최를 하루 앞둔 23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현지 언론은 이번 보안 작전을 이렇게 묘사했다.실제로 이날 찾은 네덜란드 헤이그 도심 일대는 요새를 방불케 했다.정상회의장이 마련된 헤이그 콘퍼런스센터 '월드포럼' 건물을 중심으로 주변 일대를 에워싸는 울타리가 설치됐고, 울타리를 기점으로 반경 70m 지점부터 도로도 전면 폐쇄됐다. 버스·트램 노선도 모두 우회 조치됐다.인근 도시에서 헤이그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에게는 주요 고속도로 통제를 이유로 재택근무가 일찌감치 강력히 권고됐다고 한다.그래서인지 네덜란드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라는 '악명'이 무색하리만큼 숙소에서 정상회의장까지 도보로 이동하는 동안 마주친 행인은 손에 꼽혔다. 정상회의장 주변 전면 통제 (헤이그=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개막을 하루 앞둔 23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의 정상회의장 주변이 전면 통제된 모습. 2025.6.23 shine@yna.co.kr '오렌지 방패'(Orange Shield)라고 명명된 나토 정상회의 보안 작전에 네덜란드 전체 경찰력의 절반가량인 2만 7천여명이 투입됐다. 군 인력은 1만여명에 달한다.네덜란드 역사상 최대 규모 보안 작전이다. 소요 비용도 1억8천300만 유로(약 2천906억원)로, 애초 예상치의 두 배를 넘겼다.작전의 핵심 임무는 단연 정상회의를 위해 집결하는 각국 정상과 대표단 엄호다.나토와 네덜란드 당국에 따르면 24, 25일 양일간 열리는 정상회의 기간 32개 회원국 및 초청국을 포함해 40여개국 정상 및 고위급 대표단이 집결할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