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명 강남구청장이 서울시
페이지 정보
oreo 답변을 준비중 입니다. 6 Views 25-06-21 09:43 제품문의본문
조성명 강남구청장이 서울시 출입기자단과 함께 파크골프를 치고 있다. [강남구 제공]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따악’, 경쾌한 타격음과 함께 공이 잔디를 가로 질렀다. 펜스 쪽으로 굴러간 공이 튕겨나왔다. 공은 다시 라인 안이다. “나이스 샷! 오비(OB) 아니네요.” 두번의 추가 샷 후 공이 그린에 닿았다. 남은 거리는 30㎝ 정도, 긴장된 순간이다. “채를 짧게 잡고 밀어치세요.” 틴컵에 빨려들어간 공은 ‘또르르’ 소리를 내며 멈췄다. 본지 기자도 해냈다!지난 17일 오후 찾은 서울 강남구 세곡동 탄천 일대. 강물이 저녁햇살을 받아 은빛으로 빛났다. 천변 따라 피어난 샤스타데이지가 하얗게 군락을 이뤘다. 꽃덤불 너머로 파크골프장이 끝도 없이 펼쳐졌다. 왁자한 웃음 소리가 각 홀에서 들려오고, 이따금 이름 모를 새들이 날아올랐다.총 27홀 규모. 탄천변 일대 2만4552㎡(7440평)의 부지에 조성된 경기장이다. 서울 14개의 파크골프장 중 가장 넓다. 강남구가 탄천 파크골프장 준공 1년을 맞아 파크골프 저변확대를 위해 기자단 초청행사를 열었다. 골프채를 잡아본 적도 없는 ‘생’초보부터 골프 경험이 있는 사람까지 모두 필드에 올랐다.기자가 속한 팀은 6번 홀부터 시작했다. “괜찮을까요.” 본지 기자가 긴장하자 김갑희 강남구파크골프협회 교육위원이 “못쳐도 괜찮습니다. 쳐봐요”라고 힘을 북돋는다. 힘껏 휘둘렀으나 공맞는 소리가 둔탁하다. ‘떼구르르’ 빗맞은 공은 사선으로 흘러갔다. 시범을 보인 김갑희 위원과는 타격 소리 자체가 다르다. 손목에 살짝 통증이 전해졌다. 다른 사람도 비슷한 실력이다. 등을 곧추세워 채를 휘두르는 가 하면, 헛 스윙으로 두 세번 공을 맞추는 일도 잦다. “땅을 쓸 듯이 치라”는 조언에, 땅을 파버리는 선수도 있다. 기자를 포함한 3명의 ‘생’초보들은 5~6번의 시도 끝에 틴컵에 공을 넣었다. 본지 기자가 탄천파크골프장에서 스윙을 하고 있다. 두번째 홀 부터는 느낌이 다르다. 티에 공을 올리고, 조금 힘을 빼고 휘둘렀다. ‘따악’ 이번에는 제대로 맞았다. “좋아요. 한번했다고 늘었는데요.” 김갑희 위원의 말이다. 기자의 선방에, 다른 ‘생초보’들도 용기 지난해 10월1일 경기 성남 서울공항에서 열린 건군 76주년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사열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지난해 12월4일 새벽 1시쯤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이 가결됐다. 2시간여 뒤 ‘내란 2인자’ 역할이었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주요 지휘관 화상회의를 열었다. 지난 16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중요임무 종사 등 혐의 재판에 나온 김철진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은 계엄이 선포되고 해제안이 의결되기까지 김 전 장관을 가까이서 지켜봤다고 했다. 화상회의에 나온 김 전 장관 발언도 기억하고 있었다.“우리 군이 통수권자이신 대통령님의 명을 받들어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결과가 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우리의 할 바를 다했다고 생각합니다. 이 모든 것은 장관이 책임을 집니다.”계엄 해제안 의결 뒤 열린 국무회의까지 마치고 집무실에 돌아온 김 전 장관에게 김 전 보좌관은 물었다. “포고령, 언제 썼나요?” 김 전 장관이 컴퓨터로 작업하는 모습을 본 적 없었던 김 전 보좌관은 포고령을 꺼내 보는 김 전 장관이 의아했다. 김 전 장관은 “내가 썼다”고 답했다. “왜 말하지 않았냐”고 묻자 “너희도 다칠 수 있는데 왜 말하냐”며 웃음을 지었다고 김 전 보좌관은 당시 대화를 떠올렸다.김 전 보좌관의 기억을 따라가면, 포고령에 대한 의구심은 계엄 당일 아침 발견한 ‘노란 봉투’에서부터 시작됐다. 김 전 장관 책상에 이 봉투를 놓은 김 전 장관의 부관은 “아침 일찍 ‘이름을 알 수 없는 손님’이 양호열 국방부 장관 비서와 김 전 장관을 만났다. 이분들이 노란 봉투와 관련 있는지 모르겠다”고 김 전 보좌관에게 말했다. “거기(노란 봉투)서 포고령이 나왔기 때문에 ‘아, 이게 어떤 봉투일까’ ‘어디서 작성된 봉투일까’ 하는 생각을 계속할 수밖에 없었다”고 김 전 보좌관은 진술했다.‘이름을 알 수 없는 손님’의 정체는 불법계엄 사태의 ‘민간인 비선실세’로 불리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었다. 김 전 보좌관은 김 전 장관을 수행하는 3개월여 동안 “응, 상원아”라며 전화를 받는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