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라디오(FM 94.5) [YT
페이지 정보
oreo 답변을 준비중 입니다. 7 Views 25-06-15 03:33 제품문의본문
YTN라디오(FM 94.5) [YT
YTN라디오(FM 94.5) [YTN 뉴스FM 이익선 최수영 이슈앤피플] □ 방송일시 : 2025년 6월 13일 (금) □ 진행 : 이익선, 최수영 □ 출연자 : 김성완 시사평론가, 장예찬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김성완 시사평론가> - 3대특검 광풍? 그간 김건희·채상병 등 뭉개고, 거부권 행사해 특검 출범한 것 <장예찬 국민의힘 전 최고위원> - 조은석·민중기 특검, 尹과 상당한 악연있는 분들 - 특검, 정치보복 비춰지지 않으려면 정교하고 빠르게 핀셋수사 기소 - 특검, 망신주기식·내년 지방선거 영향 끼칠 수 있는 정치보복성 기소 안될 것 - 尹, 반바지 차림 활보? 가택연금도 아닌데...유죄확정범인 듯 비난하는 건 정도 넘어선 것 - 박찬대 '검찰개혁법' 속도 조절론, 강경파 따랐다가 국민적 저항 우려하는 듯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이익선 : 꼬일 대로 꼬인 정치권 이슈를 재미있게 알기 쉽게 분석해 주시는 두 분과 함께 합니다. <이번주 탑쓰리> 김성완 시사평론가, 장예찬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모셨습니다. 어서 오세요. 본격적으로 첫 번째 키워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키워드. '3대 특검 본격화'입니다. ◆ 최수영 : 이재명 대통령이 양당에서 추천된 특검 후보들 가운데 내란 김건희, 최해병 등 3대 특검에 각각 조은석, 민중기, 이명현 특검을 지명했습니다. 어떤 이력을 가진 사람들입니까? 김성완 시사평론가 (이하 김성완) : 글쎄요, 어떻게 상세하게 제가 다 설명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요. 짧게 말씀드리면 2명은 민주당이 추천한 특검이고요. 1명은 조국혁신당이 추천한 특검입니다. 조은석 이른바 내란 특검은 민주당이 추천한 인물이고요. 민중기 이른바 김건희 특검은 그것도 역시 민주당이 추천한 인물이고요. 이명현 채상병 특검은 조국혁신당에서 추천한 인물입니다. 그러니까 2대 1로 이재명 대통령이 두 당 가운데 민주당의 2명 그다음에 조국혁신당에 1명 이런 식으로 최종적으로 선택했다고 볼 수 있고요. 그리고 조은석 내란 특검은 대표적인 특수통 검사 출신입니다. 수사 잘하기로 정평이 나 있다 이렇게 얘기가 되고 있고요. 아주 굵직한 사건을 이른바 우리가 대검 과거에 대검 중수부 얘기를 많이 했잖아요. 윤석열 전 대통령도 대검 중수부 2과장 출신이기도 한데요. 그렇게서울에서 2023∼2024년 연속으로 외래 흰개미가 출현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14일 학계에 따르면 환경부 국립생태원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은 지난달 한국환경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같은 사실을 발표했다.연구진은 작년 4월 24일 서울 금천구에 있는 한 물류창고에 적재된 종이상자에서 외래 흰개미 약 100마리를 발견했다.흰개미가 먹이로 삼았던 종이상자는 소각됐다. 전날 인천공항을 통해 싱가포르에서 수입된 포장재였다. 발견된 흰개미 가운데 번식이 가능한 개체는 없었고, 주변으로 확산한 흔적도 나오지 않았다.유전자 검사 결과 이들 흰개미는 아시아집흰개미인 것으로 확인됐다. 학명은 '콥토테르메스 게스트로이(Coptotermes Gestroi)'다. 지난 2023년 서울 강남구 주택가에서 발견된 '마른나무흰개미과 크립토털미스속'에 속하는 흰개미 모습. 연합뉴스 제공 아시아집흰개미는 4년에 6만마리씩 늘어날 정도로 군체 성장 속도가 빨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흰개미 중 하나로 꼽힌다.한국의 경우 검역 단계에서 발견된 적은 있지만 유통 단계에서 포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검역망이 뚫린 셈이다.2023년 5월에도 서울 강남구 주택에서 외래 흰개미가 나온 적 있다. 흰개미는 나무를 분해해 탄소를 자연으로 환원하고 토양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 해를 끼치지는 않지만 목조문화재와 건물을 붕괴시킬 수 있다.국내에 출현한 두 흰개미 모두 열대종이라 정착 가능성은 크지 않다. 하지만 대만흰개미로 불리는 '콥토테르메스 포르모사누스(Coptotermes Formosanus)'는 얘기가 다르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대만흰개미는 온대종이라 한국 생태계, 특히 남해안을 중심으로 적응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번식 속도도 빠르고 군체 규모는 수백만마리에 달한다. 이 때문에 친척뻘인 아시아집흰개미보다 더 큰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YTN라디오(FM 94.5) [Y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