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300](종합)대통령실 "자동
페이지 정보
sans339 답변을 준비중 입니다. 1 Views 25-07-31 13:10 제품문의본문
쿠팡퀵플렉스
[the300](종합)대통령실 "자동차 관세 15%·농축산물 추가 개방 않는다···한미회담 조율"(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김용범 정책실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7.3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한미 관세협상이 상호관세 적용 유예 만료일을 하루 앞두고 31일(한국시간) 전격 타결됐다. 미국에 수출되는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는 기존에 예고됐던 25%가 아닌 일본, EU(유럽연합)과 마찬가지로 15%를 적용받게 됐다. 한국은 미국에 대해 총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고 LNG(액화천연가스) 등 미국산 에너지를 1000억달러 어치 구매하기로 했다. 민감했던 농축산물 시장 추가 개방은 방어했다. 이같은 투자금액과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달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발표될 전망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오늘 새벽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와 관세협상을 타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실장은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 의약품 관세의 경우에도 다른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이라며 "협상 과정에서 우리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감내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상호 호혜적인 결과 도출이라는 원칙 아래 협상에 임했다.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지만 양국이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 전략을 다듬고 치열한 고민을 거쳤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 미국과 조선업 분야 협력을 확대키로 한 점을 짚었다. 총 3500억달러 투자 중 1500억달러는 한미조선협력 펀드 형태로 마련된다. 투자 대상은 선박 건조, MRO(보수·수리·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며 투자금은 우리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이다. 김 실장은 "세계 최고의 선박 설계, 건조 경쟁력을 보유한[the300](종합)대통령실 "자동차 관세 15%·농축산물 추가 개방 않는다···한미회담 조율"(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 = 김용범 정책실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7.31/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이재명 기자한미 관세협상이 상호관세 적용 유예 만료일을 하루 앞두고 31일(한국시간) 전격 타결됐다. 미국에 수출되는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는 기존에 예고됐던 25%가 아닌 일본, EU(유럽연합)과 마찬가지로 15%를 적용받게 됐다. 한국은 미국에 대해 총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고 LNG(액화천연가스) 등 미국산 에너지를 1000억달러 어치 구매하기로 했다. 민감했던 농축산물 시장 추가 개방은 방어했다. 이같은 투자금액과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달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발표될 전망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브리핑을 통해 "오늘 새벽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와 관세협상을 타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실장은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 의약품 관세의 경우에도 다른나라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이라며 "협상 과정에서 우리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감내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상호 호혜적인 결과 도출이라는 원칙 아래 협상에 임했다.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지만 양국이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 전략을 다듬고 치열한 고민을 거쳤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 미국과 조선업 분야 협력을 확대키로 한 점을 짚었다. 총 3500억달러 투자 중 1500억달러는 한미조선협력 펀드 형태로 마련된다. 투자 대상은 선박 건조, MRO(보수·수리·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며 투자금은 우리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이다. 김 실장은 "세계 최고의 선박 설계, 건조 경쟁력을 보유한 우리 조선 기업들과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강점을 보유한 미국 기업들이 힘을 합친다면 자율운항 선박 등 미래 선박 관련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김용범 정책실장이 3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관세 협상 타결 관련 브리핑을 하며 출입기자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7.
쿠팡퀵플렉스